⑴ 플랑크톤 검사


플랑크톤은 폐로 익수와 함꼐 유입되고, 세포벽을 뚫고 혈관 안으로 들어와 혈액을 따라 전신에 퍼지게 된다. 만약 죽은 이후 유입되었다면 혈액을 타고 다른 기관으로 이동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폐 이외의 장기에서 플랑크톤이 검출되었음은 심장박동이 있음을 의미하는 근거가 된다. 


아울러 장소에 특이한 플랑크톤이 있다면 경우에 따라 익사의 장소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주위 이물질에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깊게 검사하여야 한다. 플랑크톤은 강산이나 강알카리에 녹지 않은 규조류(diatom)를 검출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플랑크톤 검사의 효용성에 대해 논란이 매우 많았고, 현 시점에서도 이와 관련하여 통일된 의견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음과 같은 논점들이 검사의 효용성을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겠다.


규조류는 물 뿐만아니라 흙이나 공기 등에서도 존재한다. 한편 칠판이나 칫솔을 포함한 여러 물체에서도 발견된다. ⓑ 일반적으로 폐를 통해 침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장 점막을 통해 침입할 가능성에 대해 논란이 있다. ⓒ 특정 음식, 예를 들어 조개류 등은 많은 양의 규소를 포함하고 이는 혈류를 통해 유입 도리 수있다. ⓓ 익사가 아닌 경우에도 동물이나 사람의 조직을 검사하면 규조류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들이 있다. 


익사의 경우 양적 차이가 있어 확인 가능한 규조류의 수나 종류가 매우 많은 경향이다. 결국 익사에서 플랑크톤 검사 결과는 단정적인 증거라기보다는 보조적이고 간접적인 증거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혈액에서 전해질의 변화


전해질 검사의 경우 비교적 빠른 시간 안에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예부터 다음과 같은 주장들이 있었다. 


즉, 민물(염도:0.5% 이하) 익사의 경우에는 농도가 낮은 익수가 폐 혈관으로 이동함에 따라 희석, 과용량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이와 함께 왼쪽 심실 혈액의 Cl-, Mg++, Na+ 농도가 떨어질 것이라고 하였다. 


바닷물(염도:3.0% 이상) 익사의 경우에는 혈장 성분이 폐포 안쪽으로 이동해 폐부종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며, 혈액 농축, 저용량, 저단백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왼쪽 심실 혈액의 Cl-, Mg++, Na+ 농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최근 자료들에 따르면 사후 용혈 등으로 인해 전해질 검사 자체의 신빙성이나 실무에서의 효용성에 대해 의문이 있어 보인다.



<출처> 법의학. 강현욱. 정문각.


'탐정놀이 > 법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랍화 (Formation of Adipocere, Saponification)  (0) 2014.04.25
자가융해 (Autolysis)  (0) 2014.04.25
사후 경과 시간  (0) 2014.04.24
대량재난에서 신원확인  (0) 2014.04.24
익사(Drowning)①  (2) 2014.04.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