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만 올해 157명 상담…트라우마센터 4곳 상담도 벅차


[청주CBS 박현호 기자]




수시로 생명을 위협받고, 충격적인 사건 현장을 마주하는 경찰관. 

경찰 창설 69주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이들이 겪는 '트라우마'에 대해서는 여전히 말조차 꺼내지 못하고 있다.

짐승에게 살점이 뜯겨지고, 썪어 문드러져 형체조차 알 수 없는 시신까지…충북지역 변사사건 현장을 찾아 시신을 확인해야 하는 김모(여) 검시관은 최근 원인 모를 안구통증에 병가를 낼 수밖에 없었다. 

여성으로써 한 해 70건이 넘는 변사사건 현장과 맞딱뜨린 정신적인 충격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추측만 할 뿐이다. 

자비를 들여서라도 선뜻 치료를 받을 수 있으면 그나마 다행이다. 

도내 한 경찰서 형사는 나약함으로 비춰질까 하는 괜한 걱정에 혼자서 말 못할 고통을 끓어 안고 산 게 벌써 7년째다. 

2007년 흉기를 든 강도와 대치하다 총까지 빼들어야 했던 이모 형사는 이후 날카로운 물건에 대한 공포감이 생겼다. 

그러나 치료커녕 동료들에게조차 자신의 아픔을 알릴 수 없었다. 

그사이 마음의 병은 점차 커져만 갔고 올해 또다시 유사한 경험을 하면서 이제는 평상시 생활조차 힘이 들 정도가 됐다. 

이 형사는 "생명의 위협 속에서도 차마 총을 쏠 수 없어 발 밑으로 사격을 한 뒤에는 날카로운 물건만 봐도 공포감이 생겼다"며 "어쩔 수 없이 형사일을 했지만 올해 또다시 반복되면서 솔직히 이제는 못하겠다"고 하소연했다. 

20일 충북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올 들어 8월 말 현재,도내에서 외상후스트레스장애로 심리 상담을 받은 경찰관만 157명이다. 

이는 인근 충남의 36명, 대전 60명보다 3배 가량 많은 수치다. 

뒤늦게나마 경찰청이 올해 트라우마센터를 전국 4곳으로 확대하기는 했지만 부족한 인력과 예산 등의 한계로 희망자에 한해서 주로 상담역할에만 그치고 있다. 

해마다 건강검진에 트라우마 검사를 실시하고, 치료비 지원까지 하고 있는 소방방재청과 비교해서도 그야말로 걸음마 수준이다. 

충북지방경찰청의 한 관계자는 "업무적 특성상 못 견디면 경찰 그만둬야 한다는 게 일반적인 분위기"라며 "이런 분위기 속에서 본인 희망에 의해 원거리 상담·치료를 받는다는 게 쉽지는 않다"고 말했다. 

이 시간에도 이어지고 있는 사건·사고 현장에서 묵묵히 제몫을 하고 있는 경찰관의 소리 없는 아픔에도 이제는 귀를 기울여야할 때다.


ckatnfl@cbs.co.kr







연인원 4만여명 투입…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극심


“우리가 겪는 트라우마는 소리없는 절규와 같습니다. 치료를 받을 곳도 없어 혼자 끙끙 앓습니다.”

세월호 참사 이후 50여일 동안 진도 팽목항을 지켰던 경찰 검시관 A씨는 최근 불면증과 발작증세, 스트레스성 위염으로 끼니를 거르는 일이 잦아졌다. A씨는 지난 10여년 동안 사건 현장에서 사체의 신원과 사인(死因)을 밝혀내는 일을 해온 베테랑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형체를 알아보기 힘든 세월호 희생자들의 모습과 가족들이 겪은 고통이 생생하게 떠오르면서 A씨는 말 못할 상처로 괴로워하고 있다. 

지난달 업무에 복귀했지만 세월호 관련 24시간 대기근무를 하고 있는 A씨는 “곧 트라우마 치료 센터가 생긴다고 하지만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것도 아닌데 시간을 낼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혹시 상담을 받더라도 이상증세가 나오면 어떡하느냐…”고 말을 흐렸다.

세월호 참사에 투입된 경찰관들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시달리는 일이 늘고 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상담 및 치료시스템은 역부족이다. 전문 치료 기관을 늘리는 동시에 경찰의 근무여건을 고려한 현실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7일 경찰청에 따르면 세월호 사고가 난 4월16일 이후 지난달 말까지 진도 팽목항과 실내체육관 등 현장에는 형사와 정보, 경비 등 경찰 4만여명(연인원 기준)이 투입됐다. 하루 평균 880여명이 참사 현장에서 근무한 셈이다. 이중 대부분은 일선으로 복귀했지만 아직도 매일 500여명의 경찰은 진도 현장을 지키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시달리고 있지만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경찰의 PTSD와 관련해 치료와 상담을 받을 수 있는 곳은 지난해 서울 보라매병원에 설치된 트라우마센터 한 곳뿐이었다. 이 같은 문제를 인식한 경찰은 이달 들어 부산의료원과 대전 건양대병원, 광주 조선대병원 등 3곳에 트라우마센터 3곳을 추가로 개소했다.

하지만 여전히 전국 16개 지자체 중 12개 지역에는 트라우마센터가 없어 많은 경찰들이 원거리 진료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다. 정작 트라우마센터가 마련되더라도 선뜻 상담이나 치료에 나서는 경찰은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경찰의 근무 여건과 업무 특징 때문이다.

형사 10년 경력의 한 경찰관은 “그것(정신적 고통)도 못 참고 못 견디면 경찰은 그만둬야 한다는 게 일반적인 분위기”라며 “세월호 이후 스트레스가 심해졌어도 말 못하는 경찰이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경찰청이 2012년 실시한 ‘전국 경찰관 스트레스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 1만4271명 가운데 5309명(37.2%)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정도가 ‘심하다’고 답했고, 1569명(11%)은 ‘일부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고 답했지만 트라우마센터를 찾은 경찰은 476명에 그친다.



오영탁 기자 oyt@segye.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