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웰다잉-호스피스완화의료

[웰다잉, 삶의 끝을 아름답게 1부 ①] 생애 마지막 날을 집에서… 환자도 가족도 ‘평안’







1부 : 호스피스, 나를 위한 선택

① 삶의 마지막을 가족과 함께


내 집만큼 편한 곳은 없다. 익숙한 공간, 낯익은 냄새, 사랑하는 사람이 곁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위로가 된다. 집에서 돌봄을 받다 임종하는 경우 환자와 가족 모두 ‘삶의 질’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는 여러 차례 제시됐다.

2010년 미국 학술지 ‘임상 암 저널’에 말기 암 환자 342명과 그 사별 가족을 연구한 논문이 실렸다. 집에서 호스피스 서비스를 받으며 임종한 환자는 병원 입원실이나 중환자실에서 임종한 경우보다 삶의 질, 신체적 편안함, 심리적 안녕 등 모든 지표가 월등히 높았다.

사별 가족이 겪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비율도 집에서 임종한 경우 4.4%로 병원 임종(21.1%)의 5분의 1에 불과했다. 가족이 사별 후 일상에 복귀하지 못하는 ‘장기간 애도 장애’를 겪을 확률도 병원(21.6%)보다 집(5.2%)이 훨씬 낮았다.

영국 킹스칼리지런던 연구팀도 최근 ‘BMC의학저널’에 비슷한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생의 마지막 날을 집에서 보내면 환자는 물론 가족도 더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한다는 내용이다. 단, 집에서 죽음을 맞이하려면 몇 가지 요건이 갖춰져야 한다고 봤다. 그 필요성에 환자와 가족이 모두 동의해야 하고, 통증을 줄여줄 간병이 가능해야 한다.

집에서 임종하는 경우 의료비용도 적게 든다. 서울대 의대 윤영호 교수는 “대만의 호스피스 비용·효과 분석 연구를 보면 전통적인 병원 치료 대신 병원호스피스를 택한 경우 사망 전 1개월간 의료비용이 64.2% 줄어들고, 가정호스피스는 병원호스피스의 절반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말기 암 환자들도 임종 장소로 ‘내 집’을 선호했다. 2012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가 말기 및 진행 암 환자 465명을 조사했더니 75.9%가 돌봄 장소로 ‘가정’을 택했다. 그 이유(복수응답)로는 ‘익숙한 장소가 주는 안정감’(88.9%) ‘가족과 함께 지낼 수 있어서’(72.4%) ‘경제적 부담이 적어서’(51.4%) 등을 꼽았다. 또 89.1%는 ‘가정호스피스 이용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일반인의 생각도 다르지 않았다. 2014년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성인남녀 1500명을 조사한 결과 57.2%가 임종 장소로 자택을 선택했다.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19.5%) 병원(16.3%) 요양원(5.2%)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현실은 이렇지 않다. 간병할 사람이 없어 입원을 택하고, 많은 말기 암 환자가 요양시설에 머문다. 말기 암 환자의 병동호스피스 이용률도 13%(2014년)에 불과하다. 암 환자의 89.2%(2013년)는 여전히 병원에서 임종하고 있다.

유럽과 북미 국가의 대부분은 호스피스 서비스 가운데 가정호스피스가 90% 이상을 차지한다. 대만과 일본도 가정호스피스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호스피스 제도는 2003년부터 ‘병동호스피스’ 중심으로 시행돼 왔다. 지난해 말에야 ‘암관리법’ 개정으로 가정호스피스가 제도화됐다. 다음 달 2일부터 가정호스피스에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시범사업이 서울성모병원 등 17개 기관에서 시작된다. 환자 집에 찾아가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의 방문료와 교통비 등을 진료비(일당 정액제)로 책정해 지원한다. 그동안은 병동호스피스를 갖춘 일부 의료기관이 기부금 등 자체 비용을 들여 운영해 왔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