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회고록 울림'에서는 대한민국의 오늘을 만든 사람들 중 하나인 국내 제 1호 법의학자 문국진 고려대 명예교수를 만난다.
20일 오전 7시 5분 방송되는 KBS 1TV 'TV 회고록 울림'에서는 문국진이 설립한 대한민국 최초의 법의학 교실에 대한 이야기가 공개된다.
세계 법의학계의 중심지인 뉴욕으로 떠난 문국진 박사는 대활약을 펼쳤다. 베스트셀러 작가이기도 한 문국진의 끝나지 않은 활약이 이어진다.
세계로 뻗어나간 법의학자 문국진, 그가 진단하는 한국 법의학의 문제점은 무엇일까.
세계적으로 앞선 법의학 환경을 직접 보고 싶어 뉴욕 법의관 사무소에 간 문국진 박사. 그는 그곳에서 2년 동안 정식 법의관으로 근무하면서 한국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선진화된 미국의 법의학 제도와 사회적 분위기를 몸소 경험했다.
검시권이 없어 현장 수색조차 마음대로 할 수 없는 한국 법의관과 달리 미국 법의관은 변사체가 발생한 사건의 모든 수사과정을 책임지고 관리한다. 이런 권한은 단순히 제도로만 보장된 것이 아니다. 법의관 통제구역이 되어 길이 막히면 대통령도 그 길을 지나갈 수 없다. 법의관의 권리를 존중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어있는 것이다.
뉴욕 법의관 사무소에 있는 동안 문국진 박사는 커다란 연구 성과를 남기기도 했다. RH식 혈액형을 발견한 위너 박사와 함께 또 다른 혈액형분류법을 발견한 것. 두 사람은 혈액 응집소를 찾아낸 '누리장나무'의 학명을 따서 Cl혈액형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새로운 혈액형은 침이나 정액으로도 알아낼 수 있어 DNA지문검사가 불가능했던 1970년대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고, 곧 국제학회에서 당당히 인정받을 만큼 획기적인 발견이었다.
세계적인 법의학자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한국 법의학의 위상을 끌어올린 문국진 박사. 그가 바라보는 우리나라 법의관 제도의 문제점과 해결책은 무엇일까.
대한민국 법의학계의 큰 스승 문국진은 해방 이후 최초의 법의학 교실을 설립했다.
법의관에 대한 박한 처우와 개선되지 않는 열악한 환경 때문에 후배 법의학자들은 계속해서 국과수를 떠났다. 이런 식으론 후진을 양성할 수 없다고 생각한 문국진 박사는 대학에 법의학교실을 세워야겠다고 결심한다.
하지만 그 또한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인접학문인 병리학회의 동의를 받아야했고 수업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다른 과목 교수들을 일일이 찾아가 부탁해야했다. 이런 다양한 노력 끝에 그가 학교로 온 지 6년이 지난 1976년, 대한민국 최초의 법의학 교실이 탄생할 수 있었다.
문국진 박사는 법의학 교실을 상징하는 심벌을 만들면서 "People are flower…Be genlte(사람은 꽃이다. 부드럽게 대하라)"는 메시지를 담았다. 법의학이 인간의 권리를 위해서 존재하는 학문이라는 것을 명심하자는 뜻이었다.
이런 문국진 박사의 가르침을 받은 제자들은 대한민국을 이끌어가는 법의학의 대들보가 됐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당시, 경찰의 압박에도 굴하지 않고 사건의 진실을 밝힌 황적준 박사를 비롯한 문국진 박사의 수많은 제자들이 스승의 뜻에 따라 대한민국 법의학계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렇게 후학들을 양성하고 그들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준 문국진 박사, 현재 법의학계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제자들은 그를 어떻게 기억하고 있을까. 문국진 박사에 대한 후학들의 솔직한 고백이 'TV 회고록 울림'에서 공개 된다.
법의학자 문국진의 인생 이모작, 예술과 법의학의 만남 '법의탐적론'은 무엇일까.
문국진 박사는 법의학자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이기도 하다. 그가 처음으로 펴낸 법의학 교양서적 '새튼이'는 출간과 동시에 베스트셀러에 등극했다. 어떤 추리소설보다 흥미롭고 생생한 문국진 박사의 경험담은 대중들의 흥미를 불러일으켰고, 책이 인기를 얻을수록 법의학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법의학 교양서적이 대중들에게 법의학을 알리는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깨달은 문국진 박사는 이후 '지상아' '배꼽의 미소' 등 다양한 법의학 교양서적을 출판했다.
은퇴 후에도 그의 연구, 집필활동은 끝나지 않았다. 우연히 차이콥스키의 사인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알게 된 문국진 박사. 그는 법의학적인 시선에서 문헌, 사진자료 등을 분석해 차이콥스키의 사인을 분석한다. 그는 이렇게 문헌자료와 예술작품을 부검하듯이 파헤쳐 법의학적 사실을 입증해 내는 이 학문을 '법의탐적론'이라고 이름 붙였다. 젊은 날 법의학을 처음 접하고 심장이 뛰었듯, 새로운 학문과 또 한 번 사랑에 빠진 문국진 박사.
그가 알아낸 차이콥스키의 죽음에 숨겨진 비밀은 무엇일까. 화가 모딜리아니가 유독 목을 길게 그린 이유는 무엇일까. 고야의 '옷 벗은 마하'의 모델은 정말 신분이 높은 귀족의 부인이었을까. 문국진 박사가 법의학적 추리로 밝혀낸 작품 속 진실이 'TV 회고록 울림'을 통해 밝혀진다.
'탐정놀이 > 법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과수의 범죄학개론>서중석 국과수 원장 “법의관 힘들어도 사망현장 24시간 출동” (0) | 2016.01.09 |
---|---|
'TV회고록 울림' 법의학자 문국진, 도끼로 맞을 위기...살인범 협박 이긴 원동력 (0) | 2016.01.09 |
법의학 수준 높지만 '부검률 2.0%' 검시제도 미흡 (0) | 2016.01.09 |
환각제(Hallucinogens) (0) | 2015.05.14 |
혈중 에탄올 농도 (0) | 201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