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68년 ‘과학수사 연구단’으로 시작된 검찰의 과학수사 역사가 올해로 45년을 맞았다. 진술 분석을 위한 거짓말 탐지기 2대를 들어오며 시작된 한국 검찰의 과학수사는 이제 디지털·DNA 등 다방면으로 진화하며 수사에 없어서는 안 될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지난 8월에는 올해 한국을 뒤흔든 초대형급 사건인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실종 사건’ 수사에 전문 포렌식 장비와 요원이 투입돼, 삭제된 회의록을 복원해 국가기록원에 넘기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앞으로 3편에 걸쳐 DNA·진술분석·디지털 각 분야에서 국가디지털포렌식센터(NDFC·김영대 과학수사기획관)의 활약상이 돋보였던 수사 사례를 통해 검찰 과학수사의 의의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짚어본다.
 
/자료사진 = 대검찰청


[시리즈 ① DNA 수사] 4년 미제 ‘60대 할머니 준강도미수 사건’…숨어있던 쌍둥이 범인 찾다
 
“증거물에서 발견된 시료와 유전자형이 일치합니다.” “저는 알리바이가 있습니다.”
 
2012년 3월 서울서부지검 조사실, 피의자 신분으로 검사와 마주 앉은 김 모씨(35)가 일관되게 범행을 부인하며 억울한 표정을 지어 보였다. 검찰이 수사 중인 범죄는 발생 4년여가 지난 2008년 발생한 60대 할머니 준강도미수 사건.
 
피의자 김씨는 2008년 6월 인천 남동구 소재 김 모 할머니(67)의 가정집에 담을 넘어 침입, 도둑질을 하려다 발각되자 할머니를 뒤로 넘어뜨려 다치게 하고 달아난 혐의를 받았다.
 
김 할머니는 떠밀려 넘어지는 순간 범인의 티셔츠를 붙들었고, 당황한 범인은 붙들린 티셔츠를 벗어던지고 범행현장에서 도망쳤다. 범인이 남기고 간 티셔츠는 경찰 수사 과정에서 용의자를 찾는 유력한 증거물이 됐다.
 
경찰은 티셔츠에서 채취한 시료의 DNA 정보 분석을 통해 김씨를 이 사건의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했다. 김씨의 DNA는 경찰이 확보한 티셔츠에 남아있는 DNA 정보와 100% 일치했다.
 
싱겁게 마무리될 것 같던 사건은 경찰이 사건을 검찰에 송치한 후 난관에 봉착했다. 김씨가 범행이 일어난 2008년 6월 11일 사고로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았다며 알리바이를 주장하고 나선 것.
 
검찰은 김씨 측으로부터 입원 증거인 의료보험 급여내역을 제출 받아 확인했다. 그 결과 김씨가 범행일 당시 실제로 병원에 입원해 있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난항에 빠진 검찰, 그러나 용의자의 것과 100% 일치하는 DNA 정보가 있는데 알리바이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김씨를 용의선상에서 배제할 수는 없었다. 검찰은 이미 확보된 DNA 정보를 토대로 김씨를 계속 조사했다.
 
사건의 실마리는 가까운 곳에 있었다. 김씨에게 쌍둥이 형이 있었던 것. 김씨는 쌍둥이 형의 존재를 은폐하려 했지만 움직일 수 없는 DNA 분석결과를 앞에 두고 계속 진실을 숨길 수는 없었다.
 
2012년 4월, 검찰은 사건 발생 4년여 만에 사건의 진범인 쌍둥이 형 김 모씨를 붙잡았다. 대검찰청 DNA수사담당관실의 분석 결과 쌍둥이 형 김씨의 DNA는 범행현장에 남아있던 티셔츠에서 발견된 DNA와 100% 일치했다.
 
부인할 수 없는 DNA증거가 쌍둥이 동생 뒤에 숨어 있던 진범을 잡은 것이다. 쌍둥이 형 김씨는 징역 1년의 죗값을 치르게 됐다.
 
해마다 대검 DNA분석담당관실이 범죄 증거로 DNA분석을 실시하는 횟수는 평균 2만5000여건에 달한다. 확증을 기하기 위해 통상 1건당 2회의 분석이 이뤄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연평균 5만여건의 DNA분석이 대검을 통해 이뤄지는 것이다.
 
특히 수사 과정에서 피의자들이 적극적으로 방어권을 행사하기 시작하면서 검찰 역시 객관적·과학적인 증거를 갖추기 위해 대검에 DNA분석을 의뢰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배용원 대검 DNA수사담당관은 “범죄의 지능화에 따라 검찰의 수사 방식도 기존 진술 위주에서 과학수사를 통한 객관적 증거에 의한 수사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과학수사로의 패러다임 전환에 DNA수사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imzero@asiatoday.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