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도나 살인, 납치 등 강력범죄 사건에서 미세증거물에 대한 분석기법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범죄가 지능화되면서 지문, 족적, 혈흔 등 범인 추적이 가능한 증거물들을 찾기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국내 연구팀이 이 같은 미세증거물을 통해 뺑소니 차량의 차종과 제조연도, 시신의 사망추정시간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첨단과학수사 분석기술을 개발했다. 

범인 잡는 화학적 지문

미세증거물은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아서 현미경, 돋보기 등의 장비를 이용해야만 확인할 수 있는 범죄 증거를 말한다. 모발과 흙, 페인트·섬유·플라스틱·유리 조각 등이 여기에 속하며 지문, 족적, 혈흔 등과 달리 눈에 잘 띄지 않아 범인이 간과할 개연성이 매우 높다. 때문에 범죄현장에서 발견된 미세증거물들은 사건 해결의 결정적 증거가 될 수 있다.

문제는 이 같은 미세증거물의 경우 일반 증거물보다 분석이 쉽지 않다는 것. 동위원소나 미량원소에 대한 정밀 분석이 필요하기도 하고, 때로는 이 자료를 바탕으로 방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이 요구된다. 미세증거물을 '화학적 지문'이라 부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환경과학연구부 류종식 박사팀과 생명과학연구부 최종순 박사팀이 첨단장비를 활용해 미세증거물의 활용도와 분석의 정확도를 대폭 향상시키는 첨단과학수사 분석기술을 연구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뺑소니 사고 검거율 100%를 향해

류 박사팀은 현재 유리와 거울조각만으로 자동차의 차종과 연식을 정확히 알아내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국내에서 생산된 자동차용 유리와 거울이 제조사나 생산공정에 따라 구성물질에 미세한 차이가 있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류 박사는 “결정화 과정 없이 단단하게 냉각된 융합무기물인 유리는 미량원소를 포함, 약 30여종의 물질로 구성돼 있다”며 “제조사나 제조공정별 미량원소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작은 유리조각 하나로도 차종과 연식의 확인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를 위해 국내 5대 완성차 메이커에서 사용 중인 자동차 옆 유리 36종과 사이드미러 120종을 분석했다. 각 제품을 파쇄해 표면의 불순물을 완벽히 제거한 뒤 레이저 삭박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에 넣은 결과, 자동차 회사마다 납(Pb) 동위원소 조성비에 큰 차이가 있음이 확인됐다. 각 유리와 거울의 제조사별 차이도 명확했다.

류 박사는 “자연계의 납 동위원소는 208Pb·207Pb·206Pb·204Pb 등 4종이 존재하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완성차 메이커별, 유리·거울 제조사별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며 “유리와 거울조각은 차량사고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미세증거물이기 때문에 매년 1만1,000건 이상 발생하는 뺑소니 사고 등의 해결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사망시간 알려주는 종이 칩

최 박사팀의 경우 살인사건 피해자, 즉 시신의 사후경과시간(PMI) 판정기술 개발에 연구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PMI를 정확히 알아내면 피해자의 사망추정시간에 맞춰 용의자의 범위를 압축, 신속한 수사진행이 가능하지만 현재는 체온, 혈액 침하, 사체 경직, 부패 등 주변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는 요인들에 의존하면서 정확성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연구팀은 오랜 연구 끝에 흰쥐의 장기에서 시신의 장기나 체액으로 PMI를 객관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생화학적 마커를 찾아냈다. 그리고 이 마커를 바탕으로 사건 현장에서 손쉽게 사용 가능한 종이소재의 PMI 진단 키트를 개발하고 있다.

이 키트는 임신진단 키트처럼 칩에 체액을 떨어뜨리면 10분 이내에 결과가 나타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PMI 다중 단백질 마커들의 존재 유무로 PMI를 추정하는 메커니즘이다. 최 박사는 “현재 국내의 PMI 판정 기법은 법의학자의 개인적 경험에 많이 좌우돼 정확성이 떨어지는 편”이라며 “향후 PMI 진단 키트 개발이 완료돼 본격 보급되면 살인사건의 초동과학수사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기초지원연의 첨단과학수사연구 사업책임자인 이광식 선임본부장은 “첨단과학수사연구는 신속·정확한 사건 해결로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안전한 사회를 구현하는 국민 친화적·사회 친화적 과학기술의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nbgkoo@sed.co.kr






"불면증 있지? 건강관리 잘해" 소시오패스 이재경 曰



싱크로율 100% 카톡개님




수면제를 비롯한 억제제의 판매는 항정신성의약품 관리법에 의해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어 처방전이 없으면 구입할 수 없다. 따라서 예전에 많았던 수면제 복용 자살이나 범죄 또는 남용은 많이 줄었다.


수면제 또는 진정제는 크게 brabiturates와 non-barbiturates로 나눈다. barbiturates는 작용 시간에 따라 장시간 작용형(long-acting): barbital, mephobarbital, phenobarbital, metharbital 등, 중간형(intermediate-acting): amobarbital, aprobarbital, butabarbital, butalbital 등, 단시간 작용형(short-acting): pentobarbital, secobarbital, hexobarbital 등, 초단시간 작용형(ultrashort-acting): thiopental, methohexital, thiamylal 등으로 나눈다. 대개 중독량은 3~10gm이고, 치사량은 5~20gm이다. Non-barbiturates에는 chloral hydrate, ethchlorvynol, glutethimide, methyprylon, methaqualone 등이 있으며 치사량은 barbiturates와 비슷하다.


급성중독에서는 중추신경계 억제 작용으로 혼수, 호흡 억제, 혈압 강하, 체온 강하, 반사 소실 등이 나타난다. 만성 중독은 약물 남용자에서 볼 수 있으며 졸음증, 사고력 감퇴, 우울증, 자살 경향을 보인다.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내성이 높아져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하여 더 많은 양을 사용하여야 하며, 술과 상승작용(synergism)이 있다. 



<출처> 강대영. 법의학, 정문각



'탐정놀이 > 법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장 의사의 감별  (0) 2014.03.06
부패  (0) 2014.03.06
익사 (Drowning)  (0) 2014.03.05
총상 후의 생존 또는 신체활동 (워킹데드??!!!!!!!!!)  (0) 2014.03.05
코입막음 (Smothering)  (0) 2014.03.05



우물에 빠진 좀비남, 아주 퉁퉁 불으셨네 <미드 '워킹데드' 中>



우리 워렌 좀 살려주오 <미드 '워킹데드' 中>



1. 사망 기전


1) 액체 흡입


공기 대신 액체를 흡입하면 필요한 산소를 얻을 수 없으므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반드시 온몸이 잠길 정도의 물에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세면기나 고인 물에도 가능하고 특수한 경우로는 추락산(급속분만)이 있다.



2) 전해질 이상


사망기전과 관련하여 과거에는 산소 결핍 상태가 중요하게 여겨졌는데, 동물을 대상으로한 여러 연구 결과 수액 및 전해질 이상이 중요하며, 오히려 산소결핍은 이차적인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동물 실험에 따르면 처음 3분 이내에 혈액의 70% 정도가 되는 물이 유입 되어 혈액 희석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인 빈혈과 혈류량 증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세포 파괴에 의해 전해질 이상, 특히 포타슘(K+) 증가가 유발되고 이는 심장에 치명적일 수 있다. 다만 이런 경과는 사람에서 그리 흔하지는 않다고 한다.


바닷물에 빠지면 혈액 농축이 일어나고 이는 희석의 경우에서보다 덜 위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바닷물에서 사람이 더욱 오래 생존함을 설명한다. 이떄 바닷물의 찬 온도에서 산소의 요구량이 감소하는 것도 기여한다고 한다. 한 보고에 따르면 40분 넘는 시간을 물속에서 있었던 사례도 있다고 한다.



3) 혈류 이상


음식을 많이 먹은 후 물에 들어가게 되면 혈류가 갑자기 내장으로 쏠리는 등 혈류에 변화가 생기고 이러는 과정에서 갑작스럽게 심장이상이 발생할 수 있어 위험하다.



4) 건성 익사(Dry drowning)


갑작스럽게 찬물에 들어가면 미주신경 억제 등의 기전으로 사망할 수 있고, 알코올을 섭취하면 혈관이 이완되어 이러한 변화가 촉진될 수 있다. 나아가 기도와 후두가 자극되면 방어적으로 인후가 폐쇄됨에(laryngeal spasm) 따라 사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전으로 사망하는 경우에는 물을 들이 마심으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형태학적 변화들이 관찰되지 않고, 따라서 이들을 구분하여 건성(乾性)익사라고 한다. 이에 비해 물을 들이마시는, 전형적인 익사는 수흡성(水吸性) 익사(wet drowning)라고 한다. 전체 익사의 약 10~20%가 건성익사에 해당한다.



5) 지연성 익사(Deferred death from drowning)


물속에 빠진 이후 구조되어 소생하였으나 다시 의식을 잃고 수 시간 이내에 사망할 수 있다. 대개 페부종이나 용혈로 사망한다. 또는 익수로 인한 폐렴으로 사망할 수 있다.



2. 익사의 과정


1) 전구기, 무증상기


물에 빠져 경악호흡(suprising respiration) 후에 호흡을 멈추는 기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1~5분 정도 지속한다.



2) 호흡곤란, 경련기


호흡이 멈춤에 따라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증가하고 (hypercarpnea) 이는 곧 호흡중추를 자극하고 다시 호흡 운동이 일어난다. 이때 익수가 흡인되어 기침, 구토, 경련, 동공산대, 반사기능 소실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3) 호흡정지기(breath holding)


호흡곤란 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호흡을 멈추고 가사상태로 약1분정도 지속한다.



4) 종말호흡기


이후 발작성, 흡기성 호흡을 하면서 사망에 이른다. 이떄 심장운동은 어느정도 지속될 수 있다.



<출처> 강현욱. 법의학. 정문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