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그리스 국경에서 유럽 난민에게 구호용품을 나눠주며 봉사를 펼치고 있는 이선구(오른쪽) 최화자 부부.



그리스-마케도니아 국경 에부조리 마을에서 유럽 난민을 돕는 한국인 부부를 12일 만났다. 1960년대 파독 광부·간호사 출신 이선구(76) 최화자(72) 부부였다. 

이들은 파독 시절 결혼해 자녀가 생기자 독일을 떠나 미국 시카고에 자리잡고 살았다. 미국 한인 중 세 번째로 미 연방 종신직 판사직에 오른 존 리(한국명 이지훈)가 부부의 삼형제 중 장남이다.

부부는 지난 한 달간 에부조리를 중심으로 난민에게 생필품을 공급했다. 그리스 제2도시 테살로니키에 있는 ‘빛과소금선교센터’(김수길 선교사)에 ‘집시 단기선교’를 왔다가 난민의 딱한 사정을 보고 연금을 아껴 미니 손전등과 여성용품 수천개를 사서 전한 것이 계기였다. 이들은 속옷도 함께 제공했다. 부부는 시카고 한인교회를 평생 섬긴 은퇴 장로·권사이다. 

난민들은 부부가 내미는 요긴한 물품에 연신 감사의 인사를 그치지 않았다. 특히 여성용품의 경우 쑥스러워하면서도 기쁨을 감추지 못하는 이슬람 여성의 표정이 역력했다.  

이 장로는 “물량을 충분히 마련하지 못해 자주 나가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다”면서 “나와 아내는 한국전쟁 등으로 피난살이를 해서 그 아픔을 너무나 잘 안다”고 말했다. 

일본 태생인 이 장로는 일본 항복 직전 미군의 나고야 공습을 피해 피난민이 됐고, 최 권사는 1·4후퇴 당시 고향 충북 음성에서 외가가 있는 옥천까지 폭격을 피해가며 혹독한 피난살이를 겪어야 했다. 

두 사람은 “고통 받은 이웃을 돕는 것은 신앙인 여부를 떠나 누구나 해야 하는 당연한 일”이라며 거론되는 것을 쑥스러워했다. 


글·사진=에부조리(그리스) 전정희 특파원



 




"간호인력 늘어도 근무여건 악화-기준 상향 조정 필요" 강조



포괄간호서비스 확대 시행을 앞두고 인력난에 대한 간호계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제도 시행에 따른 업무량 증가를 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정인력 산정이 중요하다는 주장이다.

 

대한병원협회가 개최한 ‘K-HOSPITAL FAIR 2015(국제병원의료산업박람회)’에 마련된 ‘포괄간호서비스제도 도입 간호의 패러다임 변화’ 세미나에는 200명이 넘는 간호사들이 몰렸다.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이후 부상한 포괄간호서비스 시행에 현실적인 고민들을 나누기 위해서다.

 

시범사업에 참여했던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부은희 병동간호팀장은 “포괄간호서비스 시행으로 인력이 늘어났다고 해서 업무가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초기에는 업무가 늘어나 불만이 나오기도 했다”고 전했다.

 

포괄간호서비스 하에서는 투약, 교육, 인계, 기록, 배뇨·배설 위생업무, 이송 등 간호업무 외에도 기존에 간병인 혹은 보호자들이 맡았던 역할들까지 담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시범사업에서 제시하고 있는 간호사 당 환자 수 인력배치 기준은 상급종합병원 1:7 이하, 종합병원은 1:10 이하, 병원 1:12 이하 등이다.

 

기존보다 2배 가량의 간호인력이 늘어났지만 포괄간호 업무에 해당하는 적정인력은 아니라는게 간호계 주장이다.

 

병원간호사회 곽월희 회장은 “배치기준을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며 “포괄간호를 시행하고 있는 종합병원의 경우 표준(1:10)보다 상향된 1:8로 시행하고 있는 것은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환자의 중증도와 특성에 따른 간호인력 배치 및 한시적 보호자 상주 등이 고려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포괄간호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세종병원 장동녀 병동부장은 “포괄간호서비스 시행으로 업무 강도가 높아져 간호사들은 1시간씩 오버타임으로 일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이어 “환자들의 간호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면서 중증환자의 경우 분 단위로 간호사를 부르기도 한다”며 “치매환자나 인지장애환자의 경우 실종위험 등도 존재하기 때문에 업무부담이 증가했다”고 토로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포괄간호서비스 하에서도 1:1 관찰이 필요한 경우 의료인이 보호자 상주를 한시적으로 요청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했다.

 

곽월희 회장은 “간호업무량, 중증도, 간호사 경력 등의 요건들이 고려돼야 한다”며 “일괄적 기준이 아닌 의료기관 종별, 환자별 특성에 맞는 세분화된 배치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고 피력했다.

 

보건복지부 보험정책과 박지영 주무관은 “중증도에 따라 포괄간호서비스 인력배치를 고민해야 한다는 주문을 많이 받았다”며 “당장 내년부터 반영하기는 힘들지만 이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포괄간호서비스 인력배치가 적정한지 매달 연구하고 있다”며 “올해 종합병원, 병원을 대상으로 인력배치 평가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으로 연말까지 새로운 인력배치 모형을 발표하겠다”고 덧붙였다.



강애란기자 aeran@dailymedi.com







서울시간호사회, 메르스 70일간 여정 세미나 개최


[청년의사 신문 양금덕]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메르스) 속에서 숱한 날들을 보내면서 환자와 함께 메르스를 이겨낸 간호사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이들은 그간의 고충을 담담하게 털어놓으며 한 단계 성숙한 간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공유했다.





지난 2일 서울시간호사회는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메르스 70일간의 여정’을 주제로 ‘간호정책 수립을 위한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세미나에는 국립중앙의료원을 비롯해 강동경희대병원, 서울의료원, 서울대병원, 강동성심병원, 서울서북병원 등 메르스 환자가 거쳐 간 주요 병원의 간호부장들이 참여해 병원별 환자 치료 상황과 개선점 등을 설명했다.

병원마다 시설과 인력은 물론, 환자의 특성 등 상황은 다 달랐지만 이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그간 부족했던 간호서비스체계를 보완하고 재정비하는 기회를 갖게 됐다고 말했다.

확진자 1명이 발생한 강동성심병원은 의료진 108명이 능동감시자로, 의료진, 환자, 가족 등 144명이 병원에 격리, 138명의 직원들이 자가 격리되는 등 총 390명이 관리를 받았다.

이로 인해 ICU는 33명 중 5명 외에는 다 격리됐고 스페셜 파트에는 인력수급조차 안돼 어려움을 겪었다.

이순규 간호부장은 “가장 힘든 것이 스페셜파트의 인력수급이 가장 어려운 것이며, 특히 1인 격리환자에게 먹을 것도, 물도, 치약 칫솔까지 다 사다주고 나오지 못하게 하는 과정에서 환자들의 분노를 고스란히 감당하는 등 스트레스가 너무 심했다”고 털어놨다.

수백명 격리에 불안과 초조의 연속

메르스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면서 다른 환자뿐만 아니라 간호사, 의료진 등 수백명의 노출자가 발생해 격리를 해야 했던 병원들의 감회도 남달랐다.

강동경희대병원 김숙녕 간호본부장은 “76번 환자가 응급실을 거쳐간 후 환자 400명, 직원 289명이 노출됐으며 이중 간호본부에만 149명이 대거 노출돼 팀장과 파트장 등이 빠져 일할 사람이 없었다”고 털어놨다.

이 병원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외래 투석환자 중 확진자가 발생해 103명의 투석환자가 노출됐고 2일안에 500여명의 환자를 퇴원시키는 일도 감내해야 했다.

김 본부장은 “안간다는 환자들을 내보내는 것도 힘들었지만 다른 병원서 강동경희대 환자라고 안받아줘 속상했다”며 “투석격리병동에 병실마다 투석기 1개씩 두면서 역 격리하고 에어컨도 틀지 못한 채 격리복장을 하는 등 두 배 이상 힘들었지만 정작 보상은 없었다”고 말했다.

감염병 관리기관으로 지정됐던 서울의료원과 서울서북병원의 경우 심적, 물리적 부담감은 더 컸다.

서울의료원은 5월 26일부터 메르스 환자를 수용하면서 당시 전국의 186명 확진자 중 23명(12.4%)를 치료했다. 이를 위해 지난 7월 5일까지 격리병동, 선별진료소, 출입문 통제 등에 1,615명의 인원이 투입됐다.

최우영 파트장은 “메르스 전문병동에서 배출된 1일 폐기물은 15.4kg으로 평소 1.4kg에 비해 11배 많았다”면서 “메르스에 대처하면서 일단 확진자 치료에 최선을 다해 생명을 구하자, 간호사가 감염되지 않아야 한다는 미션을 갖고 결연한 의지를 다졌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간호사 스테이션과 복도가 분리돼 전화와 메모로 의사소통하고 일회용 도시락을 먹으면서도 소풍 온 듯 마음가짐을 다지면서 사투를 벌였다”면서 “메르스를 이겨내고 퇴원하는 환자의 감사편지와 주변의 응원이 큰 힘이 됐다”고 회상했다.

서울 유일의 전염성질환 전문 특수공공병원인 서북병원은 메르스 노출자진료병원으로 지정됐다. 이 병원은 올해 3월 음압격리병동 14병동을 신종감염병동으로 지정했고 이번 메르스 때는 격리음압병상을 1인 1병실로 12실을 운영했다.

메르스 병동에는 간호인력 36명이 투입, 12시간 근무 2교대로 운영되는데 간호부 행정인력 6명이 현장 지원했고 전원 기숙사 생활을 했다. 그러면서도 간호사들은 입·퇴원 환자에 대한 매뉴얼을 지키고 병동 청소 등을 담당하기도 했다.

박정민 간호사는 “병동 청소도 환경미화원은 청소하러 병실에 안간다고 해서 간호사가 직접 청소하고, 폐기물 등도 관리했다”면서 “혼자 큰 병실서 덩그러니 앉아 불안하게 떨고 있는 격리환자를 볼 때, 믹스커피 한잔이 메르스를 이기게 했다는 말을 들을 때 마음이 아팠다”고 말했다.

감염발생 시 인력수급 등 개선책 마련돼야

이처럼 메르스 사태 중심에 있었던 병원들은 환자 발생과 격리 등으로 인한 인력 및 물품 부족 등에 시달렸다. 이에 제2의 메르스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비상시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숙련된 간호사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선제적인 대응으로 메르스 환자를 치료한 국립중앙의료원은 이번 사태를 통해 중앙거점기관 간호부로 거점 기관 간의 새로운 연계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간호행정팀 김경순 팀장은 “감염병이 발생하면 간호사는 일종의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하게 됨과 동시에 환자안전 간호제공자, 환경감염 감시자, 교육자, 환자관리 옹호자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면서 “향후에는 감염병 발생 시 중환자 간호서비스 및 부서 지원인력을 상비하는 체계를 만들고 간호본부로의 조직개편을 통해 대내외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울시간호사회 김소선 회장도 “이번 메르스 사태를 보면서 경력간호사가 병원을 그만두지 않도록 해야한다는 점을 절실히 느꼈다”면서 “중견간호사가 오랫동안 재직할 수 있도록 하는 정부 시책이 가장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메르스를 위해 헌신한 간호사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기 위해 자리를 마련했다”며 메르스 의심이나 확진환자를 돌본 병원의 간호부에게 격려금을 전달했다.



양금덕 




+ Recent posts